유학생이 일본에서의 취업에 대해
1. 일본의 고용 환경
2. 일본의 취직 활동
3. 취직 활동의 스케줄
4. 일본의 취직 시험
5. 재류 자격
중에서 어제에 이어 오늘은 3. 취직 활동의 스케줄부터 올려드립니다
일본은 전통을 중요시하는 문화라서 신입 사원에 대한 교육이나 복장 등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로는 융통성이 없는 것 같아 불편하기도 하기만 정해진 룰만 따르면 되니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편리할 수도 있습니다
취직 활동의 수속과 채용 시험, 면접 대책, 서류 시험 대책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 취업 활동의 스케줄
일본의 취업활동은 졸업 예정인 학생을 일괄적으로 구인하고, 재학 기간 중에 채용 시험을 실시합니다
많은 기업에서 같은 채용 스케줄로 채용을 실시하기 때문에 채용 타이밍은 1년에 1번으로 채용 시기를 놓치면 취업이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일본의 취업활동은 2021년 현재 최종학년의 전 학년(학부 3학년, 석사 1학년, 박사 2학년)의 3월 1일부터 시작되어, 종료하는 것은 4개월 후인 6월 중순경입니다
일본의 취업활동은 조기에 시작되어 4개월이라는 긴 시간에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취업 활동의 절차와 채용시험
엔트리 (3월~5월)
엔트리란 개별 기업에 자료 청구나 정보 제공 신청을 하는 것입니다
엔트리를 하면 그 기업의 채용 정보나 기업 정보, 설명회 안내등이 메일이나 우송으로 보내집니다
엔트리는 취업 정보 사이트 (구인 정보나 합동 기업 설명회 등의 정보가 게재되어 있는 사이트)나 각 기업의 홈페이지, 합동 기업 설명회 등에서 할 수 있습니다
합동 기업 설명회/ 회사 설명회 (3월~5월)
취업활동이 시작된 직후부터 실시되는 것이 '합동기업설명회/회사설명회'입니다
합동기업설명회나 회사설명회에 참가함으로써 기업의 홈페이지에서 공표되지 않은 내용의 설명을 듣거나,
채용 담당자에게 질문을 함으로써 그 기업의 상세 정보를 입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회사 설명회는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기업이 단독으로 개최하는 회사 설명회, 여러 기업이 합동으로 개최하는 합동 기업 설명회입니다
각각의 특징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참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엔트리 제출
취업활동 시험에서 최초로 행해지는 것이 엔트리 시트 제출(서류시험)입니다
엔트리 시트를 제출함으로써 기업 채용 시험에 정식 신청이 됩니다
적성검사, 필기시험 (3월~6월)
적성검사나 필기시험은 학생이 일정 수준의 지식이나 학력에 도달했는지, 직장에서 필요한 사고력이나 판단력, 작업의 속도, 처리능력, 정확성 등을 가지로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됩니다
이는 응모자가 많은 기업이 효율적인 전형 재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면접시험 (6월~ )
일본의 면접시험은 한 기업에서 3회 이상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여러 번 실시하는 이유는 응모자의 성격이나 생각 등을 다양한 입장의 사람이 보고 그 기업에 좋은 인재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해서입니다
내정 (6월~ )
최종 전형을 마치고 기업에서 채용 의사를 전하는 것이 내정(임시 합격 통지)입니다
제1 통지는 전화로 전달되는 일도 많고, 그 이후에 '내정 통지서'가 송부됩니다
이미 타사에서 내정을 받은 경우나 그 기업에 입사할 의사가 없을 때에는 빨리 성의껏 사퇴를 신청해야 합니다. 그 후 10월에 정식 내정 (정식 합격 통지)이 됩니다
취업 활동의 준비
자기 분석
자신의 장점과 단점, 호불호, 전문이나 능력, 흥미, 장래의 꿈, 가치관, 인생관에 대해 다시 자신에게 묻고, 정리해 보는 것입니다. 자신에게 적합한 일이나 하고 싶은 일을 찾기 위해 엔트리 시트나 면접에서 자신을 잘 어필하기 위해 해야 할 준비입니다
업계 · 기업 분석
업계란 활동 내용으로 산업을 분류한 것입니다
희망하는 기업 선택을 위한 첫걸음이 '업계 · 기업 연구'입니다
자신이 희망하는 업계나 기업을 찾기 위해 엔트리 시트나 면접에서 답변하는 지망 동기를 명확히 하기 위해 자신의 장기적인 커리어 비전과 일이나 인생에서 자신이 되고 싶은 모습과 맞는지를 생각하기 위해 실시하는 준비입니다
OB · OG 방문
희망하는 기업에서 일하는 대학 선배나 교우관계의 지인을 방문하여 홈페이지에서는 알 수 없는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준비입니다
회사 설명회 등의 공식 장소에서는 듣기 힘든 질문 등을 함으로써 희망 기업의 이해가 깊어집니다
엔트리 시트 · 면접 대책
채용 시험인 엔트리 시트 작성이나 면접 대책을 하기 위한 준비입니다
대책 상세에 대해서는 챕터 4 일본의 취업 시험에서 참조해 주세요
4. 일본의 취업 시험
일본의 취업활동은 서류시험, 필기시험, 면접시험 3가지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시험에는 알아야 할 규칙과 매너 사전준비나 대책이 필요합니다
이 챕터에서는 각각이 어떤 시험인지 설명하겠습니다
서류시험
취업 활동 시험에서 가장 먼저 행해지는 것이 서류 시험입니다
서류시험에서 제출하는 서류 중 하나로 '엔트리 시트'를 제출함으로써 기업의 채용시험에 정식 신청이 됩니다
엔트리 시트의 특징은 기업마다 포맷이 다른 점과 '기업을 지망하는 이유'나 '학생 시절에 힘을 쏟은 것'등 일본어 작문을 기재할 필요가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엔트리 시트에서 정해진 문자수 (200자나 400자 정도)로 기업으로부터의 설문에 작문으로 답변하는 것이, 일본의 취업활동을 경험한 다수의 유학생이 가장고생한 점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엔트리 시트 질문의 예
당신의 성격을 음식에 비유해서 400자로 알려주세요 (식품)
당신은 입사 후에 어떤 일을 해서 회사에 공헌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습니까? (상사:商社)
학창 시절에 가장 열심히 한 것을 예로 당신이 당사에 필요한 이유를 알려주세요 (기계)
지금까지의 인생에서 실패한 것에서 배운 것을 알려주세요 (상사)
3억 엔이 있으면 세계 평화를 위해 무엇을 하고 싶습니까? (정보, 통신)
서류시험 대책
기업이 작문에서 확인하고 싶은 점은 지금까지의 자신의 활동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해 왔는지, 또 미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등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 자신의 특성이나 경험을 되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망하는 기업에 대해서도 잘 조사하고, 왜 그 기업에 입사하고 싶은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작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학교 연구 등과 양립하기 위해서는 미리 조금씩 작문을 작성하고 학교 경력 자원 부서에 상담하면서 교정해 나가는 등의 준비를 해야 합니다
필기시험
학생이 일정 수준의 지식이나 학력에 도달했는지 직장에서 필요한 사고력이나 판단력 작업의 속도 처리 능력 정확성 등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됩니다 또한 응모자가 많은 경우의 효율적인 전형 재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필기시험은 기본적으로 일본어로 출제되어 일본어 독해력이 필요합니다
각 기업 독자적으로 작성하여 실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많은 기업은 취업시험 개발회사가 작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시험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시험에는 적성 검사, 일반 상식, 작문/소논문 등이 있습니다만, 일반적으로 많은 기업이 실시하고 있는 것이 '적성시험'입니다. 적성시험에는 여러 가지 시험이 있습니다만, 일본어나 영어, 언어계의 문제나 수학계의 문제가 출제됩니다. 문제 자체의 난이도는 그다지 높지 않지만, 짧은 시간에 많은 문제를 정확하게 풀어나가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준비가 필요합니다
[問題例 (SPI3)]
⑴ 例文の下線部分ともっとも近い意味に使われているものを選びなさい。
(例)無理がきかない
①見通しがきく ②薬がきく ③先生にきく ④気がきく ⑤音楽をきく
⑵ 3%の食塩水が200 g、4%の食塩水が300 g ある。 この2つの食塩水を混ぜると濃度は何%になるか?
① 2.6% ② 3.6% ③ 4.6% ④ 5.6% ⑤ 6.6%
正解) ⑴ ①見通しがきく ⑵ ② 3.6%
필기시험의 대책
우선은 자신이 지망하는 기업이 이용하고 있는 적성 검사의 종류를 조사하는 것입니다
대기업이나 인기기업은 취업사계보나 적성검사 대책이란 책 등의 서적에서 이용되고 있는 적성검사 종류의 실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외의 기업에 대해서는 소속 학교의 커리어 센터에 있는 선배의 보고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적성검사문제의 종류와 푸는 방법에 익숙해지는 것입니다
검사의 종류와 출제되는 문제의 종류의 경향을 알고, 익숙해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서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적성검사대책책이나 인터넷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문제집 등으로 연습하면 됩니다
또 적성검사의 제한시간에 익숙해지는 연습도 필요합니다 적성검사의 어려움은 짧은 시간에 많은 문제를 풀어 나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효율적으로 문제를 풀어 나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연습 때부터 항상 시간을 의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면접시험
일본의 면접시험은 한 기업에서 3회 이상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여러 번 실시하는 이유는 응모자의 성격이나 사고 등을 다양한 입장의 사람이 보고, 그 기업에 좋은 인재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해서입니다
일본의 면접은 여러 가지 형태의 면접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은 기업이 실시하고 있는 '그룹토론', '그룹면접', '개인면접'의 3가지 종류입니다
면접의 질문 예
저희 상품을 이용한 적이 있습니까? 또 어떤 인상을 가지고 있습니까?
회사나 일에 기대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일본에 유학한 이유 ( 일본 기업에 취직하고 싶은 이유)를 알려주세요
일본에서 어느 정도의 기간, 취업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습니까?
면접시험 대책
면접에서는 엔트리 시트에 기재한 내용에 대해, 보다 자세한 설명을 요구받습니다
면접에서 질문될 것으로 예상되는 항목에 대해서는 사전에 답변을 준비해 두면 좋습니다
단시간에 자신을 PR 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에게 알기 쉽게 설명하는 것이 요구됩니다
결론 ⇨ 에피소드 ⇨ 정리순으로 답변할 수 있도록 연습하길 권합니다
면접 연습에 대해서는 핸드폰 등으로 자신이 말하고 있는 내용을 녹화해서 듣고, 시선이나 말투, 말하고 있는 내용을 확인하고 수정합시다 또한 친구나 학교 커리어 센터 직원에게 모의면접 시험관 역할을 부탁하고 연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취업활동의 절차와 준비, 취업 시험인 필기와 실기 시험 또 그 대책 등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한국과 별다를 것은 없어 보입니다만 일본은 규칙과 틀을 중요시하는 문화라
그에 맞게 준비를 하느냐 아니냐가 중요합니다
다음 챕터에서는 재류자격에 대해 글 올리겠습니다
유용한 정보를 드릴 수 있길 바라며 다음에 뵙겠습니다
한국인이 채용되기 쉬운 회사 찾기 포인트 1
「한국인이 일본에서 좋은 회사에 취직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한국인이 많은 일본 회사는 어디에 있나요?」 「일본인과 한국인의 성격 차이는 면접 결과에 영향을 주나요?」 도쿄~
leeclub.tistory.com
'일본 정보 > 유학과 취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이 채용되기 쉬운 회사 찾기 포인트 1 (1) | 2024.04.17 |
---|---|
일본에서 일하기 재류 자격 (0) | 2024.04.16 |
일본에서 일하기 / 유학에서 취직 (1) | 2024.04.07 |
일본에서의 유학 생활 (0) | 2024.03.21 |
일본 유학 비자의 취득 조건과 필요 서류 (1) | 2024.03.18 |